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9. 19世 〉31. <부정공>송파공휘진근묘표(松坡公諱珍根墓表)
1. 문헌 목록 〉19. 19世 〉33. <부정공>학생공휘진삼묘갈명(學生公諱鎭三墓碣銘)
1. 문헌 목록 > 19. 19世 >  
32.<부정공>계은공휘두현행장(溪隱公諱斗鉉行狀)
溪隱公諱斗鉉行狀 公諱斗鉉字大允號溪隱玉川趙氏以高麗光祿大夫檢校大將軍守門下侍中諱璋爲肇祖三傳有諱元吉號農隱文科侍中與圃隱鄭夢周定策迎立恭讓王封一等勳 贈諡忠獻有子諱瑜號虔谷以進士中文科官至中顯大夫典農寺副正麗社屋題不朝峴言志曰首陽山月照我心肝 太宗朝累徵下起自淳昌筮遯于順天富有縣謙川庄子孫仍世居焉長子諱斯文官修義副尉左軍司正 贈通訓大夫吏曹參議兼經筵參贊官有子智山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以壽進階嘉善晩築一亭於謙川之上扁額相好與弟三人友愛尤篤長枕大被同處一室以盡湛樂之情是爲分派之祖累傳有諱哲碩禦侮將軍訓練院僉正正龍蛇之變擧義直赴趙重峰幕下多樹戰功是生夢龍 贈司憲府持平歷累世有諱光秀寔公之高祖也曾祖諱翊垕祖諱道天考諱以楨俱以文行著名妣尙州朴氏思甲女公生于 正宗庚申八月二十日天資英邁容儀端正早就塾師學習小學孝經等書事親盡其誠孝定省溫淸之節出告反面之禮少無欠闕家雖淸賓樵山漁水供進甘旨事無大小必稟告而行之若有不安節畫夜侍湯畫誠救療疾止乃已及遭外內艱喪葬祭尊悉遵禮制不脫絰帶全廢酒肉哀毀骨立人有以孝傷孝慰論者則曰爲人子而豈有違禮妄行者乎盖其天性類多如此一生與弟三人同居一室和樂且湛克守相好亭遺規行年七十二之辛未四月十七日考終葬于昇州上沙面鳥邊橋子坐原配陽川許氏璉女己未七月五日生丁巳十二月二十日卒墓順天市德月洞月谷大洞辛坐无育取姪誠孝爲后有孫陽善宗善德善雄善女適木川張東烈陽川許鏡曾玄以下繁不錄呼公以忠孝門之后裔孝友篤至克保先德故士林薦揚登載於順天邑誌孝子篇此豈非嘉尙之事乎其嗣孫珍容使其族兄基煥訪余請爲狀德之文余以匪其人固辭不獲遂摭出其梗槩如右以俟秉筆君子之採擇焉 歲在庚申七月下澣 瀛洲 梁壬承 謹撰 계은공휘두현행장(溪隱公諱斗鉉行狀) 공의 휘는 두현(斗鉉)이요, 자는 대윤(大允)이며 호는 계은이고 윽천조씨인데 고려 광록대부 검교 대장군 수문하시중 휘 장(璋)을 시조로 三전하여 휘 원길(元吉)의 호는 농은이요. 문과 시중으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계책을 정하여 공양왕을 맞아 세운 一등 훈공으로 충헌의 시호를 내렸다. 그 아들 휘 유(瑜)호는 건곡인데, 진사로 문과에 올라 벼슬이 중현대부 전농시 부정으로 고려가 망함에 부조현(不朝峴)에 뜻을 말하되 『수양산 달이 내 심간에 비친다』 하였다. 태종조(太宗朝)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고, 순창으로부터 순천 부유현 겸천상에 피하여 사니, 자손이 인하여 세거하였다. 생휘 사문(斯文)은 벼슬이 수위복위 좌군 사정에 증통정대부 이조참의 겸경연참찬관 이요. 생휘 지산(智山)은 절충장군 첨지 중추부사며 수직으로 가선에 진계하고 말년에 겸천 위에 정자를 지어 『상호』라 현판하고 세 아우와 더불어 우애가 더욱 두터워 긴베개 큰이불로 한방에 같이 거처하며 담락의 정을 다하였으니 이분이 분파의 조상이다 여러 번 전하여 휘 철석(哲碩)은 어모장군 훈련원 첨정으로 임진년. 계사년 왜란에 창의하여 곧바로 중봉 조헌 막하에 나아가 많은 전공을 세웠다. 생휘 몽룡(夢龍)은 증사헌부 지평이요. 여러 대를 지나서 휘 광수(光秀)는 바로 공의 고조였다. 증조 휘 익후(翊垕), 조 휘 도천(道天), 고 휘 이정(以楨)은 함께 문행으로 이름이 나타났고, 비는 상주박씨 사갑(思甲)의 따님이시다. 공이 정종(正宗) 경신(庚申)(一八○○)년 八월 二十日에 출생하였는데 하늘에서 받은 자질이 영민하고 얼굴과 거동이 단정하여 일찍 서재에 나아가 『소학』· 『효경』 등 글을 학습하며 어버이를 섬기며 그 효성을 다하고 자리깔고 문안하며 따뜻하고 서늘함을 묻는 절차와 나가면서 고하고 돌아와서 예를 조금도 궐함이 없이 하였다. 가난하였으나, 나무하고 고기잡아 좋은 반찬을 만들어 드리고, 대소사 없이 반드시 말씀드린 연후에 행하며 혹 불안한 기식이 있으면 주야로 시탕하고 정성을 다하여 치료하여 병이 나은 후에 그만 두었다. 외간상을 만나서는 초상장사 제전을 다 예제를 따라하고, 상복을 벗지 아니하며 술과 고기를 전폐하여 슬퍼하니 몸이 상하여 뼈만 남으니 사람이 효도로서 효도를 상한다고 위로하고 효유한 자가 있으면 사람의 자식된 자 어찌 예를 어기고 망녕되게한 자 있겠는가. 하였으니 대개 그 천성이 이와 같으니 일생을 세 아우와 더불어 한방에 함께 거처하고 화락하며 또 즐거워하여 능히 상호정이 남긴 규칙을 지켰다. 신미(辛未) 四월 十七일에 향년 七十二세로 고종하니 승주 상사면 조변교 자좌원(昇州上沙面鳥邊橋子坐原)에 안장하였다. 부인 양천허씨(陽川許氏)는 연(璉)의 따님으로 기미(己未)년 七월 五일에 태어나 정사(丁巳)년 十二월 二十일에 졸하니 묘소는 순천시 덕월동월곡대동 신좌(德丹洞月谷大洞辛坐)에 있다. 아들이 없어 조카 성효(誠孝)로 후사를 이었는데 손자는 양선(陽善) 종선(宗善) 덕선(德善) 웅선(雄善)이요, 딸은 목천 장동렬(木川張東烈) 양천(陽川) 허경(許鏡)의 처며 증현손 이하는 다 기록 아니한다. 아, 공이 충효 명문의 후예로 효우 독지하여 능히 선덕을 보유한 고로 사림이 추천하여 순천 읍지 효자편에 등재 되었으니, 이 어찌 가상한 일이 아니 겠는가. 그 사손 진용(珍容)이 그 족형 기환으로 하여금 나를 찾아와서 장덕 문자를 청하므로 내가 그 사람이 아니라고 고사하다가 할 수 없어 마침내 그 줄거리를 위와 같이 가려내어 붓을 잡은 군자의 채택을 기다리기로 한다. 영주(瀛洲) 양임승(梁壬承) 삼가 씀
 
1. 문헌 목록 〉19. 19世 〉31. <부정공>송파공휘진근묘표(松坡公諱珍根墓表)
1. 문헌 목록 〉19. 19世 〉33. <부정공>학생공휘진삼묘갈명(學生公諱鎭三墓碣銘)